전체 글
Layer 2 Scaling Solutions (L2)
Layer 2 (L2) 알아보기 레이어2 솔루션은 이더리움 메인넷의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별도의 실행 레이어(Execution Layer)를 뜻한다 더보기 확장성이란 블록체인이 트랜잭션들을 얼마나 많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하기 위한 수수료, 즉 블록체인의 컴퓨팅 파워 및 저장공간을 사용하는 대가를 일반적으로 가스비(Gas Fee)라고 부르는데, 블록체인의 제한적인 리소스(컴퓨팅 파워와 저장공간) 때문에 블록에는 허용할 수 있는 가스비의 최대치인 ‘Gas Limit’이라는 개념이 있다 따라서 블록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트랜잭션 수에는 제한이 있으며, 그 수는 각 트랜잭션의 가스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각 트랜잭션의 ..
에어드랍 (Airdrop) 통계 / 생각
TL;DR 에어드롭 수령자의 40% 가 24시간 내, 다른 자산으로 스왑 시간이 갈수록, 홀딩 하는 비중이 줄어들며 에어드롭 후 90일이 지났을 경우, 평균 홀딩 비중은 30% 에어드랍 수령자가 토큰을 구매하는 비율은 약 4% Case Study (Terra mainnet) ANC, MIR, MINE 중에서 많은 신규 유저를 불러 모은 케이스는 ANC. ANC 제네시스 에어드랍은 42,000 개의 신규 사용자를 유치. 하지만 에어드랍 수령일 (매주 ~일요일) 에 에어드랍 토큰의 sell pressure 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MIR 에어드롭 수령자들은 에어드롭 물량을 팔기 보다, 스테이킹 하거나, LP 풀에 투자하는 등, 생태계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ANC 보다 더 우세했음. ANC..
락드랍 (lockdrop) 과 유동성 부트스트래핑 옥션 (LBA) 을 통한 토큰 런칭 방식
TL;DR 장점 크립토 VC 이자 리서치 기관인 Delphi Labs 에서 고안한 토큰 런칭 모델로써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음. 배분 (Distribution) : 많은 이해관계자 (stakeholder)에게 토큰을 배분하면서 일부 고래, 봇(선취매 봇) 에 대한 취약점 없음. 가격 발견 (Price discovery) : 가격 결정권을 시장 참여자에게 위임함으로써 탈중앙성을 달성, 법적 리스크 회피. 깊은 유동성 (Liquidity & Sufficient float) : 초기부터 깊은 유동성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토큰 상장 후 나타나는 극심한 변동성과 슬리피지를 줄일 수 있음. 탈중앙성 (Decentralization) : 개발팀이 토큰 상장 가격을 결정짓지 않음. 토큰 initial price ..
WEMIX
TL;DR 홈페이지 : WEMIX 서비스 블록체인 게이밍 플랫폼 & 게임 런처 : WEMIX PLAY NFT 거래소 : XDRACO 비수탁형 (Non-Custodial) 디지털 지갑 : Web Wallet, iOS 지갑 앱, 안드로이드 지갑 앱 위믹스 3.0 메인넷 (2022년 8월 1일 출시 예정) 온체인 분석 툴 : WEMIX Explorer 위믹스 3.0 DAO 플랫폼 : NILE (2022년 3분기 출시 예정) DAO 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고안된 네이트 프로토콜 (Neith Protocol) 을 활용해 커뮤니티가 온오프 체인의 자산과 IP, 컨텐츠와 기타 활동을 거버넌스를 통해 운영되는 것을 지원 위믹스 디파이 (DeFi) : KLEVA Protocol (+ 더 많은 디파이 서비스 20..
오랜만의 크립토 뉴스, 게임파이 펀딩 규모, 그리고 신규 레이어1 앱토스 (APTOS) 와 수이 (Sui Network) 소개
CeFi, 중앙화 거래소에서 출금되는 비트코인의 수량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중이라고 해요. 지난 6월, 약 153K 비트코인 (~$3.2B) 이 거래소에서 출금이 일어난 이후, 계속해서 순출금 (net withdrawals) 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셀시우스, 블록파이 등의 사태를 보고, CeFi 플랫폼이 지니고 있는 커스터디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움직임으로 이해됩니다. Non-custodial wallet, DeFi에 대한 필요성은 강해지는데, 여전히 믿을만한 DeFi는 또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ㅋㅋ “Not your keys, Not your coins” - 하드웨어 월렛 제조사 Ledger의 초기 슬로건. 코스모스가 유동화된 스테이킹 (liquid staking) 과 인터체인 시큐리티..
ERC-4626 볼트 토큰 알아보기
디파이 (DeFi)와 이자 농사 (Yield Farming)의 등장 이후, 디파이 프로토콜은 본인들의 서비스 상품에 유저가 토큰을 예치하면 그 대가로 aUST, veCRV, xSUSHI 와 같은 이자 발생 (지급) 토큰을 발행했는데요. 이러한 이자 지급 토큰은 ib토큰 (Interest-bearing), 또는 Yield-bearing 토큰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USHI 토큰을 스테이킹하기로 했다면 사용자는 xSUSHI을 지급받게 되는데 이는 Sushi 프로토콜에서 발생한 거래 수수료를 지급받는 배당권과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xSUSHI는 그 자체로 계속해서 이자가 지급되는 토큰입니다 (auto-compounding, yield-bearing). 하지만 디파이가 점점 다양해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