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NFT + DeFi 트렌드

    NFT + DeFi 트렌드

    NFT에 단순 jpeg 그림 이외의 가치를 더해주자, 유틸리티 성을 부여하자는 컨센서스가 만들어지면서 최근 NFT 는 디파이까지 결합되고 있음 NFT DAO 기금 펀드의 수익금을 토큰 형태로 전환해 홀더들에게 에어 드롭하는 게 현재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듯하다 그러니까 NFT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패시브 인컴을 창출하는 게 가능하다는 말! 아마 가장 유명한 건 CyberKongz 이 고릴라 NFT 홀더들은 매일 10개의 BANANA 토큰을 10년 동안 에어드롭 받음 BANANA 토큰은 가격이 80불 정도 되니까 하루에 800불 정도 에어드롭받는 거네? ㅅㅂ.... BANANA 토큰의 쓰임새는 고릴라 이름을 정할 수 있고 Bio를 수정할 수 있고 아기 고릴라를 브리딩할 수 있고 앞으로의 CyberKongz ..

    Mars Protocol 대충 설명

    Mars Protocol 대충 설명

    마스 프로토콜의 백서에 대한 대충 요약과 생각 마스는 무담보 대출, 레버리지 파밍 디앱이다 기존의 디파이에서 설계하기 힘들었던 무담보 대출을 구현했고 앵커의 예치된 UST 로도 대출을 받아 이자 농사를 할 수 있는 레버리지 파밍을 지원한다 (!!!!) 마스 프로토콜의 시스템 설명 마스 프로토콜의 시스템에는 이렇게 총 4명의 stakeholder 가 존재 1. Lender 대출자 : 마스 프로토콜에 자산을 제공, 유동성 공급을 제공해 이자를 받아가는 집단 2. Borrower (collateral o) 담보 있는 차입자 : 마스 프로토콜에 담보를 맡기고 대출받는 집단, 이 집답은 마스 프로토콜에 자산을 제공하기에 차입자이면서 동시에 1. 대출자이기도 함 3. Borrower (collateral x) 담보..

    아폴로 DAO Warchest 설명

    아폴로 DAO Warchest 설명

    기본적으로는 이자 농사 디앱인데, 아폴로에서 가장 중요한 아폴로 Warchest 가 뭔지 모르는 사람 많은 거 같아서 글 작성해봄 지금 아폴로는 커뮤니티 파밍 기간이라서 아폴로에서 LP 풀 예치하면 저렇게 아폴로 토큰을 0.25불에 자동적으로 구매하고 있다고 나옴 아폴로가 토큰 팔아서 얻는 돈과 프로토콜 수수료 Performance fee 는 아폴로 DAO의 Warchest 자금으로 가는데 이 Warchest는 탈중앙 VC, 펀드처럼 운용이 된다 아폴로 홀더들은 탈중앙 벤처캐피털, 펀드에 가입한 사람인 셈 아폴로의 로드맵은 아래와 같다 1. 99% 아폴로 프로토콜의 수익은 Warchest 자금으로 이동, 1%는 엔젤 프로토콜에 기부 2. Warchest 운용은 전부 아폴로 DAO로 운영 3. 아폴로 토큰..

    프리즘 프로토콜 PRISM 대충 설명

    프리즘 프로토콜 PRISM 대충 설명

    디파이의 혁명적인 기술 콜 5 업데이트 이후 출시한다는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아이디어적으로 뛰어나다고 생각함! 이런 게 테라에서 처음 나온다니 잘 되었으면 좋겠다! 일단 프리즘 프로토콜이 설명하는 자기의 시스템은 "refracting and revolutionizing DeFi" refracting을 굴절이라고 번역할까? 이게 무슨 의미냐면 프리즘 프로토콜에 사용자가 자산 (LUNA, ETH, etc)을 Provide 하면, p자산과 y자산으로 원래 자산이 refract 되어서 발행받는다 1 LUNA를 provide > 1 pLUNA + 1 yLUNA를 발행받게 됨 p자산은 Principal (원금) 자산을 의미하고 y자산은 Yield (이자, 이율) 자산을 의미함 이렇게 원금 자산 (p)과 이율 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