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지력
W
예지력

블로그 메뉴

  • 문의 & 피드백
  • GitHub
  • 분류 전체보기
    • 주식
    • 파생상품
    • crypto
      • 차트에 현대미술
      • 복기
      • 시스템 트레이딩
      • 기술적 분석
      • 블록체인
      • 생각
      • 리서치
      • Token Engineering
    • 이더리움 | ETH
      • 리서치
    • 테라 | LUNA
      • Tefi
      • 루나 LUNA
      • 아스트로포트 Astro
      • 앵커 프로토콜 ANC
      • 미러 프로토콜 MIR
      • 아폴로 다오 APOLLO
      • 프리즘 프로토콜 PRISM
      • 넥서스 프로토콜 NEXUS
      • 레바나 프로토콜 LEV
      • 마스 프로토콜 MARS
      • 더비 스타즈 Derby Stars
    • 프로그래밍
      • AHK 메뉴얼
      • AHK 레퍼런스
      • Delphi XE7
      • C
      • Python
      • Reversing
      • Archive
    • 일상
    • 영화
    • 낙서장
    • Deprecated
      • 로다 플레이어
      • 어의

인기 글

최근 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예지력

W

ve(3, 3) 은 디파이의 역사를 새로 쓸 수 있을까 ?
crypto/리서치

ve(3, 3) 은 디파이의 역사를 새로 쓸 수 있을까 ?

2022. 1. 13. 04:35

알림 : 아직 출시하지 않은 , 정보가 전부 공개되지 않은, 개발 중의 프로젝트에 대해 서술합니다. 언제라도 정보가 바뀔 수 있습니다


 

SOLID ?

 

 

 

ve(3, 3)

  • 팬텀 체인 새로운 DEX 토크노믹스 모델
  • 프로토콜 구조는 커브, 컨벡스 거버넌스 개념을 차용한 ve (vote escorw) + 프로토콜 소유의 유동성 (PoL) 개념의 (3,3)으로 시도할 Protocol-owned-AMM
  • ve 토큰의 유동화 => ve 토큰은 NFT로서 거래 가능함
    • ve 토큰 거래는 거버넌스 파워의 이전, 그러니까 투표권의 거래를 의미
  • 토큰 명 (미정) : SOLID
  • 토크노믹스
    • SOLID (미정) => DEX의 거버넌스 토큰
    • VC/팀 물량 0%, 커뮤니티 100%
      • 팬텀 네트워크 TVL 상위 20개의 프로토콜에게 분배될 예정
    • DEX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수료를 ve 스테이커가 받아 감
    • ve 스테이킹으로 인한 장기 홀딩 유인
    • 변동적인 발행량 조절 (:= dynamic emission)
      • 작업된 ve 토큰 비율이 올라갈수록, plain 토큰 (:= SOLID) 발행량이 줄어듦
        • 다 같이 (3, 3) 스테이킹 해서 락업 비율 100% 도달하면, 발행량 0 가능
      • 락업된 ve 토큰 비율이 내려갈수록, plain 토큰 (:= SOLID) 발행량이 늘어남
        • 추가 발행이 이루어질때, ve 홀더들의 지분이 희석되지 않게 지분 리베이스 (:= 3,3)
        • e.g. 유통량 기준 5% 추가 물량이 발행된다면, ve홀더들의 지분도 함께 5% 증가함

 

굉장히 스테이킹 := (3, 3)을 유도하는 구조.

그렇다고 단순히 단일 곡괭이 폐어 (:= 옴, 타임류) 유동성을 소유하는 (3, 3) 이 아니고,

DEX로 네트워크 대부분의 유동성을 가지게 되니,

거래소의 거버넌스 토큰이라는 강력한 유틸리티도 지니고 (커브와 마찬가지로 풀 유동성 인센티브를 ve 홀더들의 투표를 통하여 결정)

 

이러한 점은,

이전 디파이 2.0 토큰과는 다르게

자체 토큰에 대한 매수가 일어나지 않아도,

DEX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만큼의 최소한의 내재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어서,

여느 디파이 2.0 프로젝트들처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심은 적거나 없을 것으로 예상.

 

기존 옴 포크들 문제는 무엇보다

프로토콜이 소유하는 유동성이 자기네들 토큰밖에 없으니까 (옴이면 옴, 원더랜드면 타임)

자체 토큰에 대한 관심이 죽어버리면 프로토콜이 죽어버릴 수 있는 문제가 있음.

근데 이걸 문제 삼으면 모든 금융상품도 이러하니 이 친구들만의 문제는 아님.

 

근데 어떠한 서비스 없이

단순 프로토콜 소유의 유동성 장사 하려면

좀 다양한 유동성을 소유해야 하지 않을까? deep 한, flood 유동성을 소유해야 하지 않을까.

그게 진정 소유하는 유동성 아닐까?

 

자체 토큰 - USDC LP의 유동성 100% 를 프로토콜이 소유하는 단계에 돌입해도, 

자체 토큰에 대한 거래가 일어나지 않으면 => 거래가 없는, 죽은 유동성이라면

PoT (Protocol - Owned - Trash) 이라 볼 듯.

 

이런 상황이라면, 프로토콜은 트레저리로 APY 지급을 하면서 결국 붕괴됨.

배킹 가격은 트레저리 / 현재 유통량을 보여주는 방정식일뿐.

 

선형적 (linear) 으로 증가하는 트레저리는 기하급수적 (exponential) 으로 늘어나는 토큰의 유통량을 따라잡을 수 없다.

 

그래서 발행량을 줄이지 않으면 배킹 가격은 유통량이 많아지면서 떨어진다.

 

아무튼, 결론.

 

ve(3, 3) is DeFi 3.0

 

 

Q. 그래서 어떻게 사요?


참고자료

ve(3, 3) 원문 미디엄 아티클

ve(3, 3) 원문 fee structure

JackNiewold 트위터 스레드

 

크립토 정보를 공유하는 텔레그램 공지방을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

https://t.me/AGresearch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crypto >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yer 2 Scaling Solutions (L2)  (0) 2022.08.19
WEMIX  (3) 2022.07.19
오랜만의 크립토 뉴스, 게임파이 펀딩 규모, 그리고 신규 레이어1 앱토스 (APTOS) 와 수이 (Sui Network) 소개  (186) 2022.07.13
BNB 바이낸스 코인  (5) 2022.02.22
[번역] 루나 : 강한 펀더멘탈, 아니면 '강한 펀더멘탈' 이라는 내러티브 ?  (6) 2021.11.10
    'crypto/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EMIX
    • 오랜만의 크립토 뉴스, 게임파이 펀딩 규모, 그리고 신규 레이어1 앱토스 (APTOS) 와 수이 (Sui Network) 소개
    • BNB 바이낸스 코인
    • [번역] 루나 : 강한 펀더멘탈, 아니면 '강한 펀더멘탈' 이라는 내러티브 ?
    예지력
    예지력

    티스토리툴바